1 분 소요

도덕성 추구는 사치재임

Morals as Luxury Goods and Political Polarization

by Benjamin Enke, Mattias Polborn, and Alex Wu (NBER wp. 30001)

학부 미시경제학 교과서에 보면 사치재(Luxury goods)는 소득탄력성이 1보다 큰 재화로 정의된다. 그러니까 현실 세상에서 명품이 어떻고 한정판이 어떻고 이런 게 사치재의 기준이 아니고, 소득 증가율보다 소비 증가율이 더 큰 재화를 말하는 거다. (예를 들어, 원래는 양고기를 한달에 1kg을 먹다가 연봉 10% 상승 기념으로 양고기를 1.5kg 사먹었다면, 소비증가율이 50%이므로 50/10=5>1이라서 양고기는 사치재임.)

위 페이퍼는 ‘도덕성’이 사치재의 성질을 띤다는 것을 시작점으로 삼아 많은 정치경제학 상황을 설명하고자 시도했다. 도덕성이 사치재라니 무슨 소린가 싶지만, 쉽게 (1) 개인의 보수를 극대화하지만 덜 도덕적으로 보이는 행위와 (2) 개인의 보수를 약간 희생하지만 도덕적으로 보이는 행위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 소득 수준이 X%올랐을 때, (2)를 선택하는 비율이 Y%증가했다고 하면, Y%/X%가 1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장 설명할 수 있는 것은, (1) (높은 세금을 통한) 재분배 정책을 선호하는 부자 (우리나라 말로는, ‘강남좌파(?)’)의 존재와 (2) Democratic party의 heterogeneity가 Republican의 그것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이다. 과도하게 요약해서, 경제적 이슈와 도덕적 이슈가 두 축일 때, 부자라면 감세-저복지를, 가난하다면 증세-고복지를 지향할 것이고, 도덕적이라면 증세-고복지를 지향할 것인데, 부자일수록 (사치재인) 도덕적인 Concern을 하는 비율이 늘어나니까, 증세-고복지를 지향하는 사람 그룹(Democratic)은 대다수의 저소득층과 많은 고소득 도덕성지향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Republican은 소수의 저소득층과 대다수의 고소득층으로 구성되게 될 것이므로 그룹의 heterogeneity가 민주당 측이 더 크다는 건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결과다.

재밌는 아이디어로 여러 관찰을 잘 전개했다는 점에서 좋은 페이퍼다. 좋은 곳에 출판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