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분 소요

The Economics of Tipping

by Ofer H. Azar (JEP 2020)

팁 문화가 social norm이 아닌 나라(한국)에서 나고 자라서 팁 문화가 social norm인 북미에서 생활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끼리 식사를 하면 아주 잦은 빈도로 팁 이야기가 대화주제가 된다. 팁 주는 행위는 행동경제학 연구에도 꽤 자주 다뤄지는 토픽이고, 나도 관심이 많은 토픽이다. (아마도 나와 식사를 두 번 이상 한 사람은 적어도 한번은 내가 팁 관련 얘기를 장황하게 하는 걸 들었을거다.) JEP는 잘 교육받은 비전공자가 잘 이해할 수 있게 문헌을 정리하고 소개하는 목적을 가진 페이퍼들을 출판하기 때문에, 쉽고 재밌게 읽었다.

내가 원래 관심있던 주제였기 때문에 원래 아는 얘기들이 많았다. 가령

  • 서비스 받은 후에 내는 팁은 고전적인 경제학 모형으로는 설명하기 힘들며, 주요 이유는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에 근거한다.
  • 특히 social norm에 맞추기 위해서 팁을 주기 때문에 팁을 주는 것이 서비스나 재화의 특징 등에 consistent하게 의존하는 것이 아니다. 생각보다 팁을 주는 정도가 서비스 퀄리티에 아주 적게 반응한다.
  • 하지만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퀄리티가 팁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믿는 경향이 크다.
  • 서비스 퀄리티와 상관없는 액션들 (가령 영수증을 건네며 어깨에 손을 가볍게 올린다던지, 처음 주문을 받을 때 스쾃 자세로 올려다본다던지)로도 팁 사이즈가 변한다.
  • 백인이 팁을 더 받고, 심지어 흑인 소비자들도 백인에게 팁을 더 준다.
  • 요리를 하는 사람들처럼 직접적으로 손님을 응대하는 경우가 적은 사람들은 팁을 못받으므로 팁의 분배가 고르지 못하다.

등이 그렇다. 내가 덜 생각했던 부분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본문에서는 Restaurants 한정—의 유인이 크다는 점이다. 아래는 관련 부분을 그대로 가져오… 려고 했으나, 붙여놓고 보니 내가 안읽을 것 같아서 요약

  1. 대부분의 고객이 팁을 주는 것을 선호하는데, 굳이 다른 식당들이랑 다르게 팁 안받고 Service charge까지 붙여서 금액을 정할 이유가 없음.
  2. 팁 대신 서비스 차지를 포함한 메뉴는 고객들에게 비싼 식당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음.
  3. (중요) 서버의 퀄리티 체크를 일일이 할 수 없을 때, 손님이 monitoring capacity로써 기능함. 여전히 많은 서버는 본인의 서비스 퀄리티가 팁 사이즈에 영향을 준다고 믿기 때문에, 팁을 다른 수단으로 대체하는 것은 monitoring capacity 혹은 incentivizing tool 하나를 잃는 것임
  4. (중요) 서비스 차지를 통해 메뉴 가격을 올리고, 추가로 얻은 이윤을 일하는 사람끼리 공평하게 나누게 되면, 서비스 퀄리티가 높거나 바쁜 시간에 더 많은 일을 한 사람에게 불리한 분배 형태를 가짐. 결국 lemon market처럼 평균 이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이 바쁘지 않은 시간대에만 일을 하려고 할 거고, 이게 반복되면 각 시간대별로 다른 임금을 주지 않는 이상 노동균형을 맞추기 어려움

Freakonomics radio에서 두 번—2015년쯤 한번, 2019년쯤 한 번—소개했던 팁 정책을 바꾼 레스토랑 그룹 (Danny Meyer의 Union Square Hospitality Group, USHG)은 요리학교를 나오고 오랜 시간 노력을 한 주방의 요리사에 비해 서버만 팁을 받는 것은 차별적이라고 생각해서 팁을 모두 없애고 서비스 차지를 넣은 시도를 했었는데, 초반에는 성공적이였던 변화가 시간이 지날수록 잘 안된다는 것도 언급되어있다. 위에 언급한 3, 4번의 이유과 관련이 커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