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리뷰: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책 리뷰: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한순구 교수님께서 최근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2’를 출간하셨는데, 그 김에 1,2권을 같이 사서 읽어봄. 이 포스팅은 1권에 대한 기록.
모든 챕터가 ‘역사적 사건’과 ‘게임이론에서 배우는 내용’을 연결해서 설명하고, 현대 기업이나 조직사회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 뭔지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역사적 사건에 대한 묘사는 과감히 줄이고 내용만 기억할 수 있게 요약하고자 함. 디테일을 놓치는 중에 요약을 잘못했을 가능성 있음.
-
비협조적 게임 이론과 항우의 운명 (내가 임명한 부하들이 왜 나를 위해 싸워주지 않는가?)
- 초나라의 유명한 장수 항우는 초나라의 왕 의제를 충분히 통제하지 못한 채로 진나라를 평정하는 전략을 취했는데, 모두가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한다고 가정하는 비협조적 게임으로 문제를 바라보면 좋은 전략이 아니었다.
- 진나라 평정 이후 공을 세운 각 나라 장수들에게 영토를 서둘러 나누어 줬는데, 덜 나눠받은 사람의 불만을 누그려트릴 수 없을 뿐 아니라, 이미 보상을 받은 사람이 더 충성할 유인을 없앴다는 점에서 좋은 전략이 아니었다.
- 진나라 평정 후 관중 땅을 차지해서 자원을 더 확보했어야지, 초나라로 돌아가 초왕이 되는 건 좋은 전략이 아니었다.
-
한신에게 귀띔해주고 싶은 게임이론 ‘백워드인덕션’ (일은 내가 다 하는데 어째서 승진은 다른 사람이 하는가?)
- 토사구팽은 토끼를 잡는 일을 다 한 사냥개는 삶아진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혁혁한 공을 세운 한신을 유방이 내친 것을 이에 비유하곤 한다.
- 백워드인덕션(backward induction)은 이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를 생각하여 역으로 현재 어떤 전략을 취할 지 결정하는 방식이다. 토끼 사냥을 다 한 다음 삶아질 걸 아는 사냥개는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 능력을 인정받을 만큼 토끼를 충분히 잘 사냥하되, 전멸시키지 않을 거다. 한신은 그런 전략을 취했어야 했다.
-
로마가 ‘코어’와 ‘새플리 밸류’의 개념을 알았더라면 (세상이 변했는데 기준과 제도를 그대로 둔다면?)
- 코어(Core)와 새플리 밸류(Shapley value) 둘 다 협조적 게임이론에 나오는 용어로, 구성원들에게 어떻게 자원을 배분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답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대충 요약하면) 코어는 구성원 개인 혹은 구성원의 부분집합이 집단에서 이탈할 유인이 없는 자원 배분 방식, 새플리 밸류는 한 개인이 집단의 가치에 얼마나 공헌했는지를 바탕으로 한 방식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일종의 신상필벌을 하는 방식에 대한 솔루션 컨셉이라고 생각할 수 있음.
- 외부의 적 카르타고를 함락하였을 때는 로마와 동맹시가 같이 힘을 합쳤지만, 그 이후에는 동맹시에 대한 적절한 신상필벌이 이뤄지지 않았고, 이것이 로마의 쇠퇴를 가져왔다.
-
당 태종 이세민과 ‘홀드업’ 문제 (후계자 결정의 모범 답안은 과연 무엇일까?)
- 홀드업 문제(Hold-up problem)는 공동의 이익이 생길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쪽이 특정 관계 내에서만 유효한 투자를 하고 난 후 불리한 조건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가능성이 염려되어 다른 의사결정을 하는 상황을 묘사한다.
- 가령 자동차 핸들을 만드는 기업A가 특정 자동차 회사 B에서만 독점적으로 쓰일 수 있는 특별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핸들을 만들어 제공하기 위해서는 되돌릴 수 없는 설비 투자를 해야 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투자를 하고 생산을 마친 이후에는 B회사가 가격을 후려치는 등의 갑질을 해도 다른 데 팔 곳이 없기 때문에 오롯이 그 갑질을 당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예측하는 A회사는 실제 설비 투자를 하고 얻게 될 공동의 이익이 더 클 상황에도 투자를 안할 것이다.
- 당 태종 이세민은 당의 초대 황제 이연의 둘째 아들인데, 천하를 제압하는 데 가장 큰 공을 세웠으나, 형이 황태자가 되고 자기는 천책상장이 되어 불만이 있었고, 친형과 친동생을 죽여 태종이 되었음. (개인적으로는 후계자 선정 문제와 홀드업 문제가 아주 타이트하게 연결된다는 느낌이 아니었음. 굳이 따지면, 이세민이 relationship-specific investment를 했으나 그 이후 보상을 충분히 받지 않은 기업 A에 대응되는 사람일 수 있음.)
- 팀에서의 도덕적 해이 이론을 통해 본 삼국통일의 비결 (강자가 약자에게 패배하는 까닭은?)
-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는 쉽게 ‘안들키는 뺑끼’라고 생각하면 된다. 성과가 팀 단위에서만 관측되고, 개별 팀원이 얼마나 노력했는지 검증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개별 팀원이 안 들키는 수준에서 요령을 피울 가능성이 있다. 책에서는 피아노를 옮기는 일꾼 네 명의 사례를 들었다. 누군가 힘을 덜 쓰면 분명히 팀 생산성—시간 내 옮기는 피아노의 수—은 떨어지는데, 누가 힘을 덜 쓰고 있는지 확인이 어렵다.
- 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제일 작아 보이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것은 김춘추, 김유신, 선덕여왕의 도덕적 해이가 없었기 때문일 수 있다. 각자 도덕적 해이를 극복하고 최선을 다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
가마쿠라 막부의 실수와 ‘레퓨테이션 게임’ 전략 (작은 실수 하나가 어떻게 거대한 몰락을 가져오는가?)
- 가마쿠라 막부는 천황 체제에서 벗어나 무사 계급이 일본을 장악한 최초의 막부로 140년 넘게 세력을 떨쳤는데, 반란이 일어난 오사카의 작은 성을 100일 넘게 함락하지 못한 이후에 멸망했다.
- 범점할 수 없는 강력한 막부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보니 작은 성 하나도 제대로 함락 못하는 걸 보니 별 거 아니라는 걸 사람들이 깨닫고, 불만이 있던 다른 막부가 힘을 합쳐 쉽게 몰락시켰던 것.
- 레퓨테이션(reputation)은 관측할 수 없는 특성을 관측가능한 증거를 바탕으로 형성하는 믿음을 의미한다. 가마쿠라 막부는 140년간 이어졌으니 강력할 거라는 믿음, 불세출의 스모선수는 전력을 다해 상대해도 질 게 뻔하다는 믿음 같은 걸 말한다. 레퓨테이션은 자기실현 효과가 있을 수 있는데(ex. 가마쿠라 막부는 강력하게 일본을 장악함 -> 반란을 일으키면 질 것 같으니 반란을 안일으킴 -> 가마쿠라 막부는 여전히 일본을 장악함 ->…) 레퓨테이션이 깨지는 근거가 생기면, 그 사건이 아무리 작은 것이어도 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
담합과 배신의 게임이론 (믿었던 측근에게 배신당하는 이유는?)
- 오다 노부나가는 일본 센코쿠시대(전국시대)를 종식시킨 사람인데, 최측근인 아케치 미쓰히데의 배신으로 아들과 함께 혼노지에서 죽임을 당했다.
- 담합(collusion)은 담합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는 행위지만, 담합의 유지는 어렵다. 담합 가격보다 약간 더 낮은 가격을 혼자만 제시해서 큰 이득을 얻으려는 유인이 있기 때문이다. 반복 게임(repeated game)에서 담합이 유지될 수 있는 조건은 (1) 모두가 충분히 인내심이 높고 (미래의 보상을 크게 후려쳐서 평가하지 않고) (2) 배신을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득의 크기가 크지 않아야 한다.
- 오다 노부나가가 작은 시골의 영주였을 때는 배신해봐야 얻을 수 있는 이득이 크지 않았으나, 전국시대를 종식시키는 정도가 되면 배신했을 때 얻을 이득이 큰 상황이다. 현재까지도 아케치 미쓰히데가 왜 배신했는지는 (배신하고 11일 후에 죽어서)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지만, 반복 게임에서 배신의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었던 건 맞다.
-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확인하는 ‘밴드웨건 효과’ (사람들은 왜 양다리를 걸치는가?)
- 일본의 최고 권력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은 후 세키가하라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어린 아들인 히데요리를 일본의 통치자로 삼을 것을 주장하는 서군과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중심이 되는 동군이 격돌했고, 동군이 승리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을 장악하게 된다.
- 이때 대부분의 무사들은 전투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나중에 승리하는 쪽에 붙겠다는 마음으로 관전만 하다가 돌아갔다.
- 밴드웨건 효과는 남들이 하는 걸 편승해서 따라하는 현상을 말한다. (여기서도 밴드웨건 효과와 전투를 관망한 무사들이 직접 이어지지는 않아 보였음. 밴드웨건 효과는 대중의 인기에 편승하는, 일종의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묘사하는 거지만, 무사들은 실제로 관망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었을 수 있다.)
-
게임 순서가 좌우한 오사카성 전투의 승패 (퍼스트 무버가 될 것인가, 세컨드 무버가 될 것인가?)
-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 도요토미 히데요리는 오사카 성의 영주가 되었음. 도요토미 가문을 멸문시키고 싶던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재건한 호코지 범종에 새겨진 문구에 트집을 잡아 오사카성을 공격하였음. 첫 번째 공격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난공불락의 요새이며 두 겹의 해자—성을 둘러싼 물길—때문에 접근이 매우 어려운 오사카성에서 퇴각할테니 바깥쪽 해자를 메우게 해달라고 요청함. 도요토미 히데요리는 이를 승낙하였는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실수인 척하며 두 해자를 모두 메워버림. 이후 다시 공격하여 쉽게 오사카성을 함락함.
- 순차적으로 게임을 진행했을 때, 앞 사람이 취한 행동에 맞게 대응한 뒷 사람이 유리한 경우가 있다. (항상 그런 건 아니다. First-mover advantage가 있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 도요토미 히데요리는 해자를 메우면 철수하겠다고 말한 제안을 받아들이면 안됐었다. 반대로 철수를 하면 그 후에 해자를 메우겠다고 제안했었어야 했다.
-
인조와 조선이 놓친 경우의 수와 ‘혼합전략’ (오른손잡이 권투선수가 오른손을 썼는데 왜 실패했을까?)
- 혼합전략은 여러 전략적 행위를 확률적으로 섞는 걸 말한다.
- 가위바위보 게임을 생각해보면, 확정적으로 가위(바위, 혹은 보)를 내는 순수전략은 무조건 지는 전략이다. 상대는 이를 알고 바위(보, 혹은 가위)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는 가위/바위/보를 확률적으로 적절히 섞는 게 좋은 전략이다.
- 오른손잡이 권투선수는 왼손을 꽤나 많이 섞어서 쓴다. 왜냐면 오른손으로만 펀치를 날리면 상대 선수는 이를 대응해 피하고 반격하기 때문이다.
- 인조는 청나라가 공격해 올 거라고 할 때 ‘강화도 피신’이라는 순수전략을 사용했다. 이게 실패를 가져왔을 수도 있다.
-
나폴레옹을 통해 보는 ‘대리인 문제’와 승리의 조건 (어째서 아랫사람에게 권한을 주는 조직이 성공하는가?)
- 주인-대리인 문제(principal-agent problem)은 주인이 대리인을 선택하고, 주인의 목적과 일치하지 않는 목적을 가진 대리인이 의사결정을 하면 주인과 대리인의 보상이 결정되는 류의 문제를 말한다.
- 대리인이 가진 정보와 주인이 가진 정보가 비대칭적이어서 문제 풀기가 어려운데, 대리인이 열심히 일하는 게 대리인 본인에게 가장 유리하도록 조건을 잘 만드는 게 중요하다.
- 나폴레옹은 프랑스 대육군(Grand Army)을 만들었는데, 신분에 관계 없이 능력이 출중한 사람을 장교로 삼았고, 이게 프랑스 군인 개개인에게 주인의식을 심어주게 되어 승리를 이끌었다는 해석.
-
남북전쟁으로 살펴보는 ‘데드라인’ 문제 (명장으로 이름난 그는 어쩌다 최악의 전략을 선택했나?)
- 미국 남북전쟁 당시, 남군의 뛰어난 사령관 로버트 리 장군은 패배가 명백한 상황에서도 돌격을 명령했고,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북군에게 크게 패했다.
- 전략적 요충지였던 미시시피강의 빅스버그가 함락되어 북군에게 조만간 넘어갈거란 급박한 상황이 모든 전략을 고려하지 못하고 성급한 의사결정을 하게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
고르바초프와 ‘또라이 전략’ (착한 사람이 실패하지 않으려면 어떤 전략을 써야 할까?)
- 냉전시대의 최강대국이였던 소련은 1991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일방적 결정으로 사라졌다. (물론 다른 경제적 배경도 있었음)
- 고르바초프는 선량하고 합리적인 사람이었는데, ‘또라이 전략’을 사용할 시도도 안했었다.
- 또라이 전략은 이 책에서는 ‘내가 비합리적인 사람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함으로서 원하는 이득을 얻는 전략’을 의미한다. 가령 시장에 새로운 기업(entrant)이 진입하면 기존에 존재하는 기업(incumbent)은 진입기업과 공존하거나 커다란 손실을 감수하면서 출혈경쟁을 해 진입기업을 퇴출시키는 전략을 취할 수 있다. 기존기업이 합리적이면 큰 손실을 감수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니 진입기업은 시장에 진입하게 될 텐데, 만약 작은 확률로 기존기업이 또라이라서 출혈경쟁을 할 낌새가 보이면, 진입기업은 진입을 꺼릴 수 있다. 즉 기존기업이 또라이일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함으로서 이득을 유지하는 상황이다. 고르바초프는 선량한 사람이고 좋은 사람이었으나, 또라이 전략이라도 써서 소련의 국익을 위하는 입장을 취하진 않았다.
총평
(한순구 교수님이 여기까지 들어와서 이 마지막 줄까지 읽지 않으리라 믿고 솔직히 쓰면) 역사를 잘 모르는 내가 읽기에 역사 썰은 재미있었고, 게임이론 컨셉을 넣으실 때는 억지로 가져다 붙인 부분도 있어 보인다. 그래서 역사–게임이론–교훈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부분도 더러 있다. 기업에 강연하시기에 좋은 책인 건 틀림없음.